Search Icon
한국어(KO)
미국(EN)
일본(JP)
중국(CN)
독일(DE)
인도(IN)
프랑스(FR)
베트남(VN)
러시아(RU)
banner
logo
logo
산업통상자원부, 한-베트남 정상회담 경제협력 성과 추진 가속화
banner
스포츠

산업통상자원부, 한-베트남 정상회담 경제협력 성과 추진 가속화

신은성 기자
입력
산업부 장관 베트남 방문, 한-베트남 산업공동위·FTA공동위 개최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

 

[ 뉴스패치 ] 산업통상자원부 이창양 장관은 한-베트남 수교(1992.12.22) 30주년인 2022. 12. 22일 베트남 하노이를 방문하여, 「제12차 한-베 산업공동위원회」(이하, 산업공동위) 및 「제6차 한-베 FTA공동위원회」(FTA공동위), 현지 진출 기업인 간담회 개최 등 경제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하고 현지 우리 기업들의 투자 활동을 지원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 11월(프놈펜) 한-아세안 정상회의 계기, 윤석열 대통령이 발표한 「한-아세안 연대구상」에 따라 베트남 등 아세안 국가들과의 경제협력을 확대하고,


지난 12월 5일,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국가주석 방한 시, 「한-베트남 정상회담」 계기에 양국 산업부 간 체결한 「핵심광물 협력 MOU」 등 정상 경제외교 성과 후속조치 이행을 위함이다.


이 장관은 응우옌 홍 디엔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과 함께 주재한 산업공동위에서 개회사를 통해 “한-베 양국은 수교 이후 지난 30년간 긴밀히 협력해 온 데 이어, 12월 양국 정상회담을 계기로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발전해왔다는 점에서 이번 산업공동위에서 새로운 30년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길 바란다.”고 언급하면서,


양국이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 기후변화 대응, 글로벌 통상환경 공조 등 향후에도 다방면에서 긴밀한 협력을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개최된 산업공동위에서 양측은 무역, 에너지자원, 산업기술 등 3개 분야를 중심으로 12월 초 정상회담 경제협력 성과 후속 추진과 함께 새로운 경제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무역 분야) 양측은 '23년 양국 교역목표 1천억 불 및 정상회담 계기에 설정한 '30년 양국 교역목표 1천 5백억 불 달성을 위해, 상호 협력을 보다 긴밀히 하고, IPEF, RCEP 등 양국이 참여하는 다자간 통상 플랫폼을 통해 협력을 강화해나가기로 했으며, 한-베 정상회담 계기 체결한 「영국-베트남 FTA 원산지 누적 조항 이행 교환각서」에 대한 베트남 측의 후속조치 상황도 공유했다.


아울러, 부산광역시가 그간 APEC 정상회의(2005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2019년) 등 다수 국제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했고, 우수한 교통, 관광 및 산업인프라를 보유한 국제도시라는 점을 강조하고, 2030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를 지지해 줄 것을 요청했다.


(에너지자원 분야) 양측은 정상회의 계기 체결한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MOU」를 통해, 핵심광물 관련 전주기적인 협력(무역·투자 증진, 공급망, 기술개발 등)과 함께, 청정에너지(수소, 태양광, 풍력 등), LNG발전 등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자원 협력을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특히, 이 장관은 우수한 기술과 경험을 보유한 우리 기업들이 베트남 내 석유·가스전 탐사 및 개발과 LNG 발전사업 등에 참여할 수 있도록 베트남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산업기술 분야) 양측은 조선·섬유·자동차 등 업종별 협력 상황을 점검하고 관련한 기업들의 애로 해소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VITASK 센터, 뿌리기술 협력사업 등을 통해 소재·부품 협력을 지속 확대키로 했다.


양측은 이번 제12차 한-베트남 산업공동위를 계기로 「원전 협력 MOU」, 「청정에너지 협력 MOU」, 「에너지 컨설팅 MOU」 등 총 3건의 MOU를 체결했다.


산업부는 이번 MOU 체결을 통해, 양국 간 공급망 및 원전 분야 정보·인력 교류 등 협력 범위가 확대되고, 한-베트남 정상회담(12.5) 계기 체결한 「포괄적 전력산업 협력 MOU」에 더해 암모니아 혼소 등 청정에너지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산업공동위에 이어 양국 산업부 장관 주재로 개최된 FTA공동위에서는 품목별 원산지 기준 현행화, 한-베 FTA 경제협력 사업, 전자적 원산지정보교환시스템(EODES) 구축 등 한-베 FTA 이행 관련 주요 현안을 점검하고 기업들의 한-베트남 FTA 활용 제고를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또한, 이 장관은 베트남 현지에 진출한 우리나라 기업인들과 간담회를 개최하여, 어려운 여건 가운데 양국 간 경제협력의 일선에서 활동 중인 기업들을 격려하고, 기업들의 다양한 건의와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이 장관은 동 간담회에서 청취한 건의 및 애로사항을 산업공동위 등 계기에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 등에게 전달하며 애로 해소를 위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신은성 기자
banner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
banner
banner
banner
banner
banner
b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