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Icon
한국어(KO)
미국(EN)
일본(JP)
중국(CN)
독일(DE)
인도(IN)
프랑스(FR)
베트남(VN)
러시아(RU)
banner
logo
logo
안도걸 의원, 종부세 고지 인원·세액 증가, 대부분 차지한 "수·다·고"
banner
스포츠

안도걸 의원, 종부세 고지 인원·세액 증가, 대부분 차지한 "수·다·고"

이재은 기자
입력
‘수도권·다주택·고가주택(12억 이상)’ → 종부세 증가분 4.8만명, 1261억원 대부분 차지

 

[ 뉴스패치 이재은 기자 ] 올해 종부세 고지 인원이 전년 대비 4.8만 명(11.6%) 증가했으며, 이에 따른 세액도 0.1조 원(8.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도권, 다주택자, 고가주택(공시가 15억 초과)'의 종부세 쏠림현상이 두드러졌다.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안도걸 의원(광주동남을)이 '2024년 종합부동산세 고지현황'을 분석한 결과, 종부세 고지인원과 고지세액의 증가분이 서울 등 수도권의 비중과 다주택자의 비중이 대다수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인원 증가분 4.8만명에서 '수도권·다주택자·고가주택' 쏠림현상이 두드러졌다. 증가한 인원의 66%가 서울에 집중되어 있으며, 수도권 기준으로는 93%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올해 서울 집값 상승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다주택자는 3.1만명(6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세대 1주택자가 1.7만명(35.4%) 증가한 반면, 법인은 약 400명 감소했다.

 

고가주택인 공시가격 12억 초과 주택의 경우 서울에서 28,676건 전년대비 증가했는데 전체 증가분의 80%를 차지했다. 공시가격 15억 초과 주택의 경우 서울에서 32,786건 증가했는데, 이는 증가분의 94%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세액 증가분 1,261억원의 경우에도 '수도권·다주택자·고가주택' 쏠림현상이 두드러졌다. 서울지역 거주자의 종부세가 1,415억 증가하고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종부세가 감소한 데에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지세액 증가분 중 다주택자는 865억(68.6%), 1세대 1주택자는 263억(20.9%), 법인이 100억원 증가하며 다주택자가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종부세는 고지 후 특례 신청 등으로 실제 결정 인원과 세액은 변동될 수 있다. 2023년의 경우에도 당초 고지분 인원과 세액이 41.2만 명(1.5조 원)에서 40.8만 명(0.9조 원)으로 감소한 바 있다.

 

이에 전 정부 기획재정부 차관을 지낸 안도걸 의원(광주동남을)은 "종부세 증가분이 수도권, 다주택자, 고가주택이 대부분 차지한 이면에는 종부세가 첫째로, 강남 등 수도권 투기과열지구를 포함한 구매수요 억제와 함께, 둘째로 다주택자에 대한 투자 및 투기수요 억제 기능 또한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이재은 기자
banner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
banner
banner
banner
banner
banner
b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