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2019년 이후 최대 규모… 국내 부실기업 4466곳으로 증가
banner
경제

2019년 이후 최대 규모… 국내 부실기업 4466곳으로 증가

신은성 기자
입력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발표한 최신 분석에 따르면, 국내 외부감사 대상 기업 중 11.9%가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9년 이후 최대 규모로, 경기침체와 고금리 환경이 기업 건전성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경협이 지난 23일 발표한 '기업부실예측분석을 통한 2024년 부실기업 진단' 결과에 따르면, 외부감사를 받는 기업(금융업 제외) 3만 7510곳 중 4466곳이 완전자본잠식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부실기업 수는 2019년 2508곳(7.9%)에서 시작해 2020년 3077곳(9.2%), 2021년 4012곳(11.2%), 2022년 3856곳(10.8%), 2023년 4350곳(11.6%)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왔다. 한경협은 "경기회복 지연으로 인한 업황 부진,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하면서 부실기업 수가 많이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개별 기업의 부실 전환 확률도 2019년 5.7%에서 꾸준히 상승해 2024년에는 8.2%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향후 더 많은 기업들이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업종별 분석에서는 부동산·임대업이 24.1%로 가장 높은 부실 확률을 보였다. 이어서 전기·가스·증기·수도사업(15.7%),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4.2%),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14.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제조업은 2.8%로 가장 낮은 부실 확률을 기록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건설업의 부실 확률이 2019년 3.3%에서 2024년 6.1%로 5년 새 1.9배 급증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업종별 상승 폭에서 가장 큰 수치다. 이어서 전문과학(1.8배), 광업(1.6배), 정보통신업(1.5배) 순으로 부실 확률 상승 속도가 빨랐다.

 

한경협은 건설업 부실 확률 급등의 원인으로 고금리·고물가 환경, 건설 수주 부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 복합적 요인을 지목했다.

 

한경협 이상호 경제산업본부장은 "부실기업이 늘어나면 실물경제 악화와 함께 금융시장 리스크가 확대돼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이 높아진다"고 경고했다. 그는 "자금조달 비용 완화와 유동성 지원으로 부실 위험을 줄이는 한편 원활한 사업 재편을 저해하는 상법 개정안을 국회에서 재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신은성 기자
shineunseong@hanmail.net
banner
댓글
0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