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조선업체 사이버보안 강화 북한 해킹 위협 증가에 따른 민관 합동 대응책 마련 주력

국가정보원이 북한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조선업계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나섰다.
최근 북한의 해킹 시도가 증가하는 가운데, 미국 함정 정비 시장 진출을 앞둔 국내 조선업체들의 보안 취약성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국정원은 지난 23일 부산 누리마루 APEC하우스에서 부산·울산·경남 지역 조선업체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와 유관기관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사이버보안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2023년 말부터 김정은의 해군무력 강화 지시에 따라 북한 해킹조직의 국내 조선사 공격이 지속되는 상황을 고려해 마련됐다.
특히 국내 조선업체들이 미국 함정의 유지보수·수리·정비(MRO) 시장에 본격 진출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북한의 해킹 위협 수위도 함께 상승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정원은 이날 간담회에서 실제 피해사례를 중심으로 북한의 해킹 공격수법을 상세히 설명하고, 예방법 등 사이버위협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미국 국방부가 도입한 '사이버보안 성숙도 모델 인증제도'(CMMC)를 소개하며, 주요 평가지표에 해킹사고 대응·관리 역량이 포함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CMMC는 방산 공급망 사이버보안 강화를 위한 필수 인증제도로, 미국 방산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반드시 충족해야 하는 요건이다.
국정원은 또한 민관 합동 사이버위협 대응을 위해 지난해 발족한 '사이버 파트너스' 참여를 업계에 제안했다. 이는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여 사이버 위협에 공동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업체 관계자는 "국정원이 조선업체 밀집지역에서 진행한 현장 서비스에 인상 깊었다"며 "실제 사례와 그에 따른 보안대책 설명 덕분에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겠다"고 평가하며 정기적인 간담회 개최를 희망했다.
국정원 국가사이버안보센터 관계자는 "높은 기술력을 가진 우리 조선업계는 항상 북한 등 사이버위협 세력의 타깃이기에 방심해선 안 된다"며 "국정원은 업계의 사이버보안 애로사항 해결을 적극 돕겠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국가 주요 산업의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고 북한의 해킹 시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정원의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