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KO)
미국(EN)
일본(JP)
중국(CN)
독일(DE)
인도(IN)
프랑스(FR)
베트남(VN)
러시아(RU)
banner
logo
logo
김운남 고양특례시의회 의장, "경제자유구역 변경안 논란 주택 중심 개발은 배드타운 위험 높여"
정치
고양시의회

김운남 고양특례시의회 의장, "경제자유구역 변경안 논란 주택 중심 개발은 배드타운 위험 높여"

신은성 기자
입력
▲
▲고양특례시의회 전경/ 사진=고양특례시의회

고양특례시의회 김운남 의장이 고양시가 추진 중인 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변경안에 대해 강력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이번 변경안은 산업 육성보다 주택 공급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도시 발전 방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김 의장은 "이번 경제자유구역 개정계획 변경안은 고양시가 자족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배드타운으로 전락할 위험이 크다"고 경고했다.

 

경제자유구역은 외국인 투자와 첨단 산업 유치를 통해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하는 특수목적 구역이다. 이는 단순한 도시개발을 넘어 미래 산업 생태계 구축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고양시가 최근 발표한 개발계획 변경안에 따르면, JDS지구를 '송포·가좌지구'와 '장항·대화지구'로 분리하고 총 5만 호 규모의 주택을 공급하는 구상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3기 신도시인 창릉지구보다 더 큰 규모로, 산업 육성보다 주택 공급에 치중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산업은 뒷전이고 주택공급이 앞서는 구상은 결국 '경제'자유구역이 아닌 '주택'자유구역으로 전락할 위험이 크다"고 김 의장은 지적했다.

 

고양시는 최근 보도자료를 통해 "주거 위주의 성장으로 자족성이 부족했다"고 진단하며, '2040 도시기본계획'을 통해 산업 중심의 자족도시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성은 대규모 주택 공급을 담은 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변경안과 상충된다는 지적이다.

 

김 의장은 "고양시는 현재 기로에 서 있다"며, "경제적 관점에 집중한 경제자유구역의 성공적 지정을 통해 자족도시로 발전하거나, 대규모 주택공급 확대로 배드타운으로 확실히 전락할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 의장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입장을 명확히 했다. 첫째, 경제자유구역은 기업 유치, 산업 활성화, 일자리 창출을 중심에 둔 개발이어야 하며, 주택공급은 산업 인프라를 보완하는 수준으로 제한되어야 한다. 둘째, 도시공간의 재편은 시민 삶의 질 향상과 자족도시 실현이라는 방향성에 맞춰 이뤄져야 한다. 셋째, 중요한 도시개발 계획에 있어 시민 의견 수렴과 시의회와의 충분한 협의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경제자유구역은 단순한 부동산 공급이 아니라, 도시의 미래 산업구조를 새롭게 디자인할 수 있는 기회"라며, 김 의장은 "시민의 삶과 도시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책임지는 의회의 일원으로서, 본질을 벗어난 개발이 추진되지 않도록 책임 있는 감시자 역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신은성 기자
banner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