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KO)
미국(EN)
일본(JP)
중국(CN)
독일(DE)
인도(IN)
프랑스(FR)
베트남(VN)
러시아(RU)
banner
logo
logo
2025서울모빌리티쇼, 첨단 부품기업들의 혁신 기술 총집합 미래 모빌리티 기술의 향연
경제

2025서울모빌리티쇼, 첨단 부품기업들의 혁신 기술 총집합 미래 모빌리티 기술의 향연

신재철 기자
입력

2025서울모빌리티쇼가 오는 4월 4일 개막을 앞두고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선도하는 부품기업들의 혁신 기술이 대거 선보일 예정이다. 서울모빌리티쇼조직위원회(위원장 강남훈)에 따르면, 이번 행사에서는 전동화, 친환경, 지능화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이 소개된다.

 

현대모비스, 보그워너, 서연, 명화공업, 모트렉스 등 국내외 유수의 부품기업들이 참가해 차량과 운전자의 상호작용을 혁신하는 지능형 디스플레이부터 전기차 효율성을 높이는 전동화 부품,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친환경 소재까지 다양한 기술을 선보인다.

 

현대모비스는 '홀로그래픽 윈드쉴드 투명디스플레이'를 기아 전기차 EV9에 장착하여 전시한다. 

 

이 기술은 차량 전면 유리창의 특수 광학 필름을 통해 주행 정보와 내비게이션, 인포테인먼트 정보를 파노라마처럼 펼쳐 보여주는 편의 기술이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독일 ZEISS와 공동 개발 중인 이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은 2027년부터 본격적으로 제품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코리아에프티 카본 캐니스터 /사진제공=코리아에프티]
▲코리아에프티 카본 캐니스터 /사진제공=코리아에프티

또한 현대모비스는 차세대 전기차 구동 기술인 e코너시스템이 장착된 실증차 '모비온'도 전시하며, 전문 해설가가 복잡한 자동차 부품 기술을 쉽게 설명하는 'M.Tech 갤러리관'과 초등학생 대상 '주니어 공학교실'을 운영해 일반 관람객의 이해를 돕는다.

 

글로벌 자동차 부품기업 보그워너는 전기차 주행 성능 향상을 위한 토크제어 및 3 in 1 기술이 집약된 배터리 팩 시스템, 통합 열관리 시스템, 모터·인버터·변속기가 통합된 드라이브 모듈시스템 등을 선보인다. 

 

특히 배터리 열관리의 핵심 기술인 인터셀 디자인 쿨러와 실리콘카바이드 반도체를 적용한 모터제어용 인버터가 주목받을 전망이다. 이 제품들은 2026년 이후 양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부품 제조사 테크레인은 센서리스 방식의 EWP(전동식워터펌프)를 공개한다. 이 제품은 모터 위치센서 없이도 모터를 제어할 수 있어 원가 절감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팬, 컴프레서와 결합할 수 있는 유연성이 특징이다.

 

명화공업은 친환경 소재를 적용한 차세대 자동차 부품을 선보인다. 자동차 연비개선 및 배출가스 저감을 돕는 ISG 시스템의 지원 부품인 EOP(전자식 오일 펌프)는 엔진 정지 상태에서도 유압을 유지해 매끄러운 재출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전기차 냉각회로 내 부품을 모듈화한 쿨런트허브, 하이브리드용 자동변속기의 고전압 전동식 오일펌프 제어기 등도 전시된다.

 

코리아에프티는 북미 LEV-III 및 TIER-3 법규를 만족하는 친환경 카본캐니스터와 플라스틱 소재를 적용한 필러넥, 전자기 노이즈를 최소화한 전동 선쉐이드를 소개한다. 또한 객체 검출 시스템과 시멘틱 세그멘테이션을 적용한 ADAS 솔루션도 선보인다.

 

모트렉스 그룹은 국내 최초의 친환경 중형 승합 PBV 차량인 CV1을 신차발표 행사를 통해 공개한다. 

 

이 차량은 설계 단계부터 차량과 전장품을 승합 목적에 최적화했으며, AI 객체인식 기술 기반의 승하차 안내 등 혁신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 

 

모트렉스 그룹은 CV1을 기반으로 DRT차량, 어린이 통학차량, 구급차, 경찰작전차 등 다양한 PBV 차량을 개발할 계획이다.

▲테크레인 EWP/ 사진제공=테크레인
▲테크레인 EWP/ 사진제공=테크레인

서연은 컨셉 모델 Vision 2030을 통해 SDV시대 글로벌 부품사 디자인 R&D 비전을 반영한 디자인 모델을 선보이며, 사용자 경험별 공간 구성이 가능한 미래 모빌리티를 제안한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KAICA)은 '자동차 부품 기술관'을 통해 조합 회원사의 자동차 부품 기술력을 선보인다. 

 

태양금속공업, 대동시스템, 유니크, 대한이연 등이 참가해 내연기관 부품의 고도화와 친환경 모빌리티 전환을 위한 첨단 기술을 소개한다.

 

서울모빌리티쇼조직위원회는 "많은 부품기업들이 급변하는 모빌리티 산업 환경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으며, 서울모빌리티쇼가 이러한 혁신 기술과 솔루션이 실제 비즈니스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서울모빌리티쇼는 4월 4일부터 13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올해는 GTX-A 노선 개통으로 서울역에서 킨텍스까지 16분 만에 도착할 수 있어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입장권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예매할 수 있다.

신재철 기자
banner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