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부도 막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 경영진 해명에도 비판 여전

한국 유통업계에 지각변동을 일으킨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신청이 협력사와 임대 점주들 사이에 불안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이에 대응해 홈플러스 경영진은 지난 14일 서울 강서구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부도를 막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해명에 나섰다.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은 간담회에서 "지난 13일까지 3400억 원의 상거래 채권을 상환했으며, 현재 남은 현금 잔액은 약 1600억 원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기업과 브랜드 점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세업자 채권은 곧 지급이 완료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홈플러스는 회생절차 개시 이후에도 영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강조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회생 신청 이후 한 주간의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13.4% 증가했으며, 이는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던 작년 같은 기간을 상회하는 수치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강등 공시 이전부터 회생 신청을 준비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김 부회장은 "사전에 준비한 것이 전혀 없다"며 "신용등급 하락이 확정된 후 긴급히 검토하고 연휴 기간에 의사결정을 내려 신청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회생 의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다.
김 부회장은 "홈플러스가 부도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회사가 부도가 나면 급전직하로 무너지기 때문에 이를 막고 정상화하는 길은 회생절차밖에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자구 노력 없이 기업회생을 신청했다는 비판에 대해서도 김 부회장은 대주주로서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회생절차에서는 채권자가 우선"이라며 "MBK가 이 과정에서 이익을 본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김병주 MBK 회장의 사재 출연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답변하기 곤란하다"며 즉답을 피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홈플러스와 연관된 입점사와 협력사가 수천 곳에 이르는 만큼 이번 사태가 조속히 해결되기를 바라고 있다.
유통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홈플러스 사태가 국내 대형마트 업계 전반에 미칠 파장을 주시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소비 패턴과 온라인 쇼핑 성장으로 오프라인 대형마트들이 구조적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홈플러스의 회생 과정이 업계 재편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