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홈플러스 회생절차 한 달, 갈등 확산
경제

홈플러스 회생절차 한 달, 갈등 확산

이하나 기자
입력2025.04.08 11:26
▲
홈플러스 홈페이지/ 갈무리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한 지 한 달이 경과하면서 대내외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대규모 할인 행사 종료 후 비수기로 접어들면서 정상적인 영업을 통한 현금 확보에 적신호가 켜졌으며, 납품 대금 정산 문제를 둘러싼 공급업체와의 마찰도 재점화되고 있다.

 

22개 농축산단체로 구성된 한국농축산연합회는 최근 성명을 통해 "홈플러스로부터 유가공조합·업체 등이 40억원에서 100억원에 달하는 대금을 정산받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연합회는 "피해가 더 확산하지 않도록 농축산업계 피해 현황을 조사하고 대책을 마련할 것을 정부에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특히 2000억원에 육박하는 농협경제지주의 납품 차질이 지속될 경우 농축산업계 피해가 급증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이에 대해 홈플러스 측은 연합회의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생계가 달린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2만명의 직원들이 힘을 모아 정상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대기업과 주요 이해단체들이 '비 오는 날 우산 뺏기'식의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홈플러스는 서울우유협동조합이 지난달 20일부터 3주 가까이 상품을 공급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금 선지급 조건을 요구하며 물품 공급을 중단해 낙농 농장주와 서울우유 대리점주 등 2차 협력사와 농축산 농가가 피해를 보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홈플러스 매장 우유 매대에는 '서울우유 업체 사정으로 상품 입고가 지연되고 있다'는 안내문이 부착된 상태다.

 

그러나 한국농축산연합회는 "여론의 화살을 농축산업계에 돌리려고 홈플러스가 무리수를 꼈다"며 "홈플러스의 적반하장은 소도 웃을 일"이라고 재반박했다. 

 

서울우유 측도 홈플러스에 대한 납품 중단은 정산 방식과 기한 단축에 대한 이견 때문이며, 2차 협력사에 문제가 되고 있다는 홈플러스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내부적으로도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홈플러스는 회생 절차 개시에 따른 단기 유동성 문제로 2025년 납부해야 하는 퇴직연금 사외 적립금과 지난해 12월 대법원의 통상임금 기준 변경에 따른 판결로 발생한 추가 적립금 등 약 1100억원을 미납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퇴직연금 사외 적립금 적립률은 83% 수준이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사외 적립금 적립률이 83% 수준이면 퇴직금 지급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또한 "내년 2월까지 미납 적립금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367억원을 먼저 납부하고, 잔여 미납금과 통상임금 판결에 따른 2025년 추가 불입분도 회생계획안에 반영해 우선적으로 납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마트산업노동조합은 홈플러스 대주주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의 무책임한 태도가 현장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퇴직금 적립률에 대한 답변을 받았으나 그 내용이 기대와 거리가 멀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이하나 기자
leehala101@gmail.com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