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특례시, 738억 원 규모 민생경제 활성화 계획 발표

[뉴스패치 신은성 기자] 화성특례시가 경기 침체와 불안정한 정치 상황으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에 대응하기 위해 '특례시 민생경제 활성화 추진계획'을 수립했다. 이 계획은 2025년 화성 특례시 출범에 맞춰 민생경제 활성화를 신속하게 추진하려는 정명근 시장의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계획은 상생과 혁신을 통한 경제 특례시 구현을 목표로 하며, 5개 분야에 걸쳐 총 738억 원 규모의 소득양극화 극복사업을 확대 편성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소상공인 지원 확대, 중소기업 제조혁신, 희망일자리 창출, 기업 안전망 구축, 20조 원 투자유치 조기달성 등이 포함됐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한 지원책이다. 화성특례시는 전국 최대 규모인 5,000억 원의 희망화성지역화폐를 발행해 위축된 소비심리 회복에 기여할 계획이다. 또한 특례보증, 이자차액 보전 사업, 경영환경 개선 사업 등을 통해 소상공인의 사업 경쟁력 강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중소기업을 위해서는 운전자금과 특례보증 등 저금리 맞춤형 운영자금을 지원해 경영난 해소에 도움을 줄 계획이다. 전통시장과 상점가 활성화를 위한 시장매니저 지원, 행사 지원, 화재 예방 및 고객지원센터 조성 등의 사업도 추진된다.
화성특례시는 이러한 민생경제 활성화 계획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신속한 예산 집행을 약속했다. 올해 상반기 내에 90% 이상의 예산을 집행해 지역 경제 순환을 촉진한다는 방침이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고금리 고물가와 대내외적 불확실성 증가로 자영업과 기업을 운영하는 시민들의 고통이 매우 클 것"이라며 "이를 해결하는 것이 최선의 급선무로 판단하고 민생경제 활성화 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더불어 정 시장은 "지역화폐를 전국 최대로 발행해 소비를 통한 경제활성화와 특례보증과 이자차액 보전 등을 통한 경제안정화를 동시에 추진해 대한민국 최고의 특별한 특례시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화성특례시는 '화성형 기본사회' 추진을 통해 사회경제적 양극화와 불평등 완화에도 힘쓸 예정이다. 이를 통해 포용적 성장기반과 사회적 신뢰, 경제적 안정성을 강화하고 기본이 보장된 사회, 지속가능한 환경을 조성해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를 형성할 계획이다. 시는 이를 위한 전담 조직 신설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