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회, 지역 맞춤형 치안정책 14개 선정
사회

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회, 지역 맞춤형 치안정책 14개 선정

신은성 기자
입력
▲
▲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회'지역특화 자치경찰 정책' / 사진=경기도

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회가 지역 특성에 맞춘 14개의 '지역특화 자치경찰 정책'을 선정했다고 21일 발표했다. 이번 정책은 지역 치안 사각지대 해소를 목표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특화 자치경찰 정책은 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회와 경기도의회의 협력으로 2024년 처음 도입된 사업이다. 당국은 올해 예산을 전년 대비 100% 증액한 3억 원으로 확대하고, 지역별 맞춤형 시책사업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위원회 측은 경기도남부경찰청 및 31개 경찰서에서 제안한 사업들 중 1차 자체심사를 거쳐 안양만안경찰서의 '공동체 치안 활성화를 위한 세이프 커넥트 프로젝트' 등 14개 사업을 최종 선정했다.

 

선정 과정에는 강경량 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장을 비롯해 경기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 윤성근·장대석 의원, 장현석 경기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박현호 용인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등 7명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참여했다. 이들은 사업 타당성, 계획 우수성, 사업 효과성 등을 기준으로 도민의 체감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사업들을 엄선했다고 위원회는 설명했다.

 

선정된 사업 중 가장 높은 점수(95.6점)를 받은 것은 김포경찰서의 '좋은 말벗' 사업으로, 전국 최초로 학부모폴리스가 직접 배우가 되어 학교를 방문해 교내 언어폭력 예방을 위한 연극 공연을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시흥경찰서는 우회전 일시정지 위반 차량에 의한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주요 교차로에 '돌출형 반사표지'를 설치하는 사업을 제안해 94.2점으로 2위를 차지했다.

 

분당경찰서의 'AI 기반 스마트-POL' 사업은 88.8점으로 3위에 올랐다. 이 사업은 법원으로부터 피해자 접근금지 처분을 받은 가정폭력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연락을 시도할 경우 자동으로 경고문자가 발송되는 시스템으로, 전국 최초로 시행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용인서부경찰서의 '로봇핑(Patrol-ing)' 사업은 안심공원에 순찰로봇을 배치해 범죄 및 사고예방 활동을 수행하며, 수원남부경찰서는 '관계성 범죄 인식개선 프로젝트'를 통해 수원 중심상권 상가의 테이블 오더에 스토킹·데이트 폭력 등 관계성 범죄 예방 콘텐츠를 송출할 계획이다. 군포경찰서는 '다국어 범죄예방 가이드 모바일 웹(pol-buddy)'을 개발해 외국인 범죄예방에 나설 예정이다.

 

강경량 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회 위원장은 "자치경찰제 시행 취지에 맞는 지역별 치안 시책사업을 적극 발굴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경기도형 자치경찰 구현에 앞장서 나가겠다"며 "추후 사업의 효과성을 평가해 우수 사업은 도내 다른 지역에도 확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은성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