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주 MBK 회장, 홈플러스 회생에 M&A 방안 제시
김병주 MBK 회장은 홈플러스 경영 정상화를 위해 인가 전 M&A가 최선의 방법이라며, 이를 위해 MBK가 보유한 홈플러스 보통주 2조 5000억원을 전량 무상 소각할 의사를 밝혔다.
다만 1조원 이상의 추가적인 사재 출연은 어렵다는 입장이며, 새로운 인수자를 찾지 못할 경우 자체 회생 절차를 밟도록 노력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김 회장은 이미 홈플러스 회생을 위해 3000억원의 재무적 부담을 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국회 정무위원회 의원들과의 비공개 면담에서 홈플러스 회생을 위한 MBK의 노력과 재정적 부담을 상세히 밝혔다.
그는 1000억원 규모의 사재를 출연하고 MBK파트너스가 2000억원 규모의 대출 연대 보증을 서기로 했다고 언급하며, 홈플러스에 대한 책임감을 드러냈다.
또한 소상공인 거래처에 대한 채무 변제를 돕고자 사재 400억원을 홈플러스에 증여하고, 600억원의 대출 지급 보증을 섰다는 점도 강조했다.
MBK 측은 김 회장의 국회 면담이 홈플러스 회생을 위한 향후 방안 설명과 협조 요청을 위한 것이었다고 밝혔다.
홈플러스 회생을 위해 이미 김 회장 개인은 1000억원 이상, MBK는 1500억원 등 약 3000억원의 재무적 부담을 지고 있다는 점을 전달하며, 인가 전 M&A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협조하겠다고 설명했다.
MBK는 미팅에서 1조원의 사재 출연에 대한 문의나 요구는 없었으며, 김 회장 또한 이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홈플러스는 2조 9000억원의 채무를 안고 있으며, 만성적인 경영난에 채권 피해자 배상 부담과 퇴직연금 미납 등 악재가 겹친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홈플러스가 이러한 부실을 해소하고 경영 정상화를 위한 투자를 하려면 약 1조 7000억원 규모의 추가 자금 투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계와 노동계에서는 MBK와 김병주 회장이 홈플러스 경영 실패의 책임을 지고 1조원대 자금을 홈플러스에 투자하라는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