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KO)
미국(EN)
일본(JP)
중국(CN)
독일(DE)
인도(IN)
프랑스(FR)
베트남(VN)
러시아(RU)
banner
logo
logo
현대차·기아, 로봇 보안 솔루션 확대
사회

현대차·기아, 로봇 보안 솔루션 확대

신재철 기자
입력

 

슈프리마와 손잡고 AI·로보틱스 기반 토탈 보안 시스템 구축 나서
▲
▲현대자동차와 기아,국내 출입 통제 분야 1위 기업인 슈프리마/ 사진=현대자동차그룹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로봇 친화적 건물 환경 구축을 위한 새로운 협력 관계를 맺었다. 양사는 20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국내 출입 통제 분야 1위 기업인 슈프리마와 '로보틱스 및 AI 기반 토탈 보안 솔루션 구축 사업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슈프리마는 서울 성수동에 위치한 팩토리얼 성수에서 현대자동차·기아 로보틱스랩과 함께 로봇 친화 빌딩 검증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보안시스템 전문업체다.

 

이번 협약은 로봇 관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의 고도화와 혁신적인 로보틱스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통한 로봇 친화 빌딩 사업 확장을 목표로 한다. 로봇 친화 빌딩 구현의 핵심은 로봇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건물 내 인프라 관리 기술과 이를 로봇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기술이다.

 

현대자동차·기아는 다양한 로보틱스 요소 기술을 서비스에 융합하는 '로보틱스 토탈 솔루션'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오피스, 종합병원, 호텔 등 로봇 서비스가 필요한 고객에게 검증된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협약에 따라 양측은 AI와 로보틱스를 융합한 보안 솔루션 개발과 로보틱스 기술을 활용한 신규 보안 서비스 개발을 추진한다. 

 

첫 단계로 현대자동차·기아 로보틱스랩의 달이 딜리버리(DAL-e Delivery)와 같은 모바일 플랫폼을 활용해 물리보안 기술 연구와 검증에 착수한다. 자율주행 로봇을 기존의 고정된 물리보안 인프라와 연동함으로써 보안 사각지대를 제거하고 보안 품질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현동진 현대자동차·기아 로보틱스랩장 상무는 "로봇과 사람이 건물 내 인프라의 제약을 극복하고 편리한 이동과 새로운 공간 서비스를 창출하는 새로운 업계 표준을 만들 것"이라며 "이번 협력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특히 AI 기술이 결합된 '로보틱스 토탈 서비스'가 기존 정적 물리보안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한철 슈프리마 대표는 "이번 협력을 통해 로보틱스를 결합한 무인 보안 서비스의 새로운 시대를 열게 돼 의미가 깊다"며 "로보틱스랩과 협업해 클라우드, 로봇, AI, 다양한 센서, 현장 대응 솔루션 등을 통합한 AI 기반 로봇친화빌딩의 보안 시스템으로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현대자동차·기아 로보틱스랩은 현재 성수동의 로봇 친화 빌딩 팩토리얼 성수에서 AI 안면인식 기반 출입보안 시스템과 달이 딜리버리를 활용한 음료 배달 서비스 등 첨단 로봇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고객들에게 보다 편리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물리보안(Physical Security): 범죄 등 주로 고의적 위협(threat)으로부터 인명, 시설, 정보 등의 자산(asset)을 보호하기 위해 물리적 취약성(vulnerability)를 통제하는 활동으로, 최근에는 영상분석을 활용한 지능형 감지와 출입관리 기술 등으로 발전하고 있다.

신재철 기자
banner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