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화성시매향리평화기념관, 54년 아픔의 땅 재탄생
사회

화성시매향리평화기념관, 54년 아픔의 땅 재탄생

이재은 기자
입력
미군 폭격장의 상흔을 간직한 화성 매향리, 평화의 상징으로 거듭나다
▲매향리평화기념관/ 사진=
▲매향리평화기념관/ 사진=화성특례시

화성특례시가 반세기 넘게 미군 폭격의 상처를 간직해온 매향리에 '매향리평화기념관'을 조성하고 오는 21일 정식 개관한다. 

 

개관식은 당일 오후 1시 30분 기념관 1층 다목적홀에서 정명근 화성특례시장과 도·시의원, 시민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될 예정이다.

 

이 기념관은 과거 미 공군사령부의 사격훈련장으로 사용되었던 '쿠니사격장(Koon-Ni Range)'의 일부 시설을 보존하면서, 세계적 건축가 마리오 보타(Mario Botta)의 설계를 통해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건립되었다.

 

'평화의 길, 희망의 바다'라는 비전을 담은 기념관은 전시 구성에도 이 철학을 반영했다. 

 

쿠니사격장 존치 건물은 역사적 기억을 담은 '평화의 길' 공간으로, 신축 기념관은 치유와 존중을 통한 평화를 약속하는 '희망의 바다' 공간으로 조성되었다. 외부에는 회랑과 추모의 위령비, 물이 흐르는 수(水) 공간 등을 배치해 주민들의 아픔을 공감하고 치유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

 

기념관 내부는 따스한 빛이 공간 곳곳에 스며들도록 설계되었는데, 이는 오랜 고통을 겪은 주민들의 마음을 위로하고 어둠의 시간을 지나 평화와 희망을 되찾은 매향리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1층에 마련된 어린이체험실에서는 빛과 희망, 자유, 평화를 주제로 한 미디어아트와 다양한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다. 어린이들은 미로, 퍼즐, 그림책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매향리의 역사를 접하고 평화의 가치를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2층 상설전시실에는 쿠니사격장의 설치부터 폐쇄까지의 과정, 주민들의 투쟁, 미군 훈련의 실상 등을 담은 다양한 기록물이 전시되어 있으며, 기획전시실에서는 '빛과 그림자'를 소재로 한 특별전이 관람객을 맞이한다.

 

화성특례시는 미군이 사용했던 위병소, 카페, 체력단련실, 사격통제소, 숙소 및 식당, 장교막사 등의 공간을 원형 그대로 보존해 방문객들이 당시 현장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매향리의 역사적 아픔을 기억하고,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매향리평화기념관의 MI(Museum Identity)는 지난해 3월 '독일 iF 디자인어워드'에서 본상을 수상하며 국제적 인정을 받기도 했다.

 

본래 '매화 향기가 가득하다'는 뜻을 지닌 조용한 바닷가 마을이었던 매향리는 1950년 한국전쟁 발발 이후 미군 사격장이 들어서며 평화로운 일상이 폭격 소리에 잠식되기 시작했다. 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사격장은 1952년경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1968년 한미상호방위조약과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 체결 이후 미군은 농토 29만 평에 육상사격장을 설치하며 '쿠니(KOON-NI)사격장'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1980년까지 추가 징발을 통해 해상사격장 690만 평, 육상사격장 29만 평, 총 719만 평에 달하는 대규모 사격장으로 확장됐으며, 연간 약 250일, 하루 600~700회에 이르는 집중적인 사격훈련이 실시됐다.

 

2017년 성공회대 산학협력단이 발간한 『매향리의 역사·문화, 현대사 백서』에 따르면, 사격훈련장으로 인해 8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당했다. 

 

2007년 원진환경건강연구소의 조사에서는 매향리 주민들의 자살률이 다른 지역보다 2~7배 높았으며, 고도불안이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세를 보이는 비율도 다른 지역에 비해 9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영향을 받은 매향리 주민들은 '매향리 미공군 국제폭격장 철폐를 위한 주민대책위원회'를 결성했다. 이후 주민 612명이 청와대에 진정서를 제출했고, 1998년에는 전만규 위원장을 포함한 15명이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전환점이 된 것은 2000년 5월 발생한 '매향리 오폭사고'였다. A-10 지상공격기 1대가 매향리 앞바다와 쿠니사격장에 폭탄 6발을 한꺼번에 투하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매향리의 오랜 고통이 전국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998년에 시작된 재판은 2001년 매향리 주민들의 고통과 희생을 인정하는 판결로 이어졌고, 2004년 대법원에서 승소 확정판결을 받았다. 마침내 2005년 8월, 주한미군이 '쿠니사격장'을 폐쇄함으로써 반세기 넘게 이어진 비극은 주민들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화성특례시는 반환된 땅 57만㎡를 평화생태공원으로 조성했고, 24만㎡에는 전국 최대 규모의 리틀야구장인 '화성드림파크'를 건설했다. 건축면적 2,136㎡의 매향리평화기념관은 2019년 착공해 2021년 준공됐으며, 작년 12월 임시 개관 후 이번에 정식 개관을 맞게 되었다.

 

기념관은 매주 월요일을 제외한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며, 입장료와 주차비는 무료다. 20인 이상 단체관람은 사전예약이 필요하며, 네이버 예약 시스템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매향리는 하늘에서 쏟아지는 포탄 아래에서도 삶을 지켜낸 주민들의 눈물과 고통이 켜켜이 쌓인 땅"이라며 "매향리평화기념관은 주민들의 아픔과 용기를 잊지 않고 기억하며, 평화의 소중함을 가슴 깊이 되새기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