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 금리 하락에도 대출 금리 상승... 예대금리차 확대 우려
최근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예·적금 금리는 빠르게 하락하는 반면, 대출 금리는 상승하는 등 예대금리차 확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5대 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최고 금리는 2.55~2.85%로 모두 3% 밑으로 내려왔으며, 은행연합회 소속 19개 은행 중 3% 이상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은 Sh수협은행의 'Sh첫만남우대예금(연 3.1%)' 단 하나뿐이다.
지난달 29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 예·적금 금리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가운데, NH농협은행은 거치·적립식 예금 금리를 0.25~0.3%포인트, SC제일은행은 거치식 예금 5종의 금리를 최대 0.2%포인트 인하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달 31일 수신상품 3종의 기본금리를 연 1.8%에서 1.6%로 0.2%포인트 하락시켰고, 케이뱅크도 플러스박스와 코드K정기예금 금리를 최대 0.1%포인트 낮췄다.
토스뱅크 역시 통장과 토스뱅크 모으기의 기본금리를 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일부 은행은 금융당국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대출 금리를 낮추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인상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변동 금리형과 주기형(5년) 주담대 금리를 0.06%포인트, KB국민은행은 변동 금리 주담대 금리를 0.04%포인트 인상했다. 키움증권 김은갑 애널리스트는 **“가계 대출 증가율이 상당히 제약받고 있어 금리 인하에 따른 예대금리차 하락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러한 추세는 예대금리차 확대 가능성을 높이며,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