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예금 금리 하락에도 대출 금리 상승... 예대금리차 확대 우려
경제

예금 금리 하락에도 대출 금리 상승... 예대금리차 확대 우려

신은성 기자
입력

최근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예·적금 금리는 빠르게 하락하는 반면, 대출 금리는 상승하는 등 예대금리차 확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5대 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최고 금리는 2.55~2.85%로 모두 3% 밑으로 내려왔으며, 은행연합회 소속 19개 은행 중 3% 이상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은 Sh수협은행의 'Sh첫만남우대예금(연 3.1%)' 단 하나뿐이다. 

 

지난달 29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 예·적금 금리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가운데, NH농협은행은 거치·적립식 예금 금리를 0.25~0.3%포인트, SC제일은행은 거치식 예금 5종의 금리를 최대 0.2%포인트 인하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달 31일 수신상품 3종의 기본금리를 연 1.8%에서 1.6%로 0.2%포인트 하락시켰고, 케이뱅크도 플러스박스와 코드K정기예금 금리를 최대 0.1%포인트 낮췄다. 

 

토스뱅크 역시 통장과 토스뱅크 모으기의 기본금리를 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일부 은행은 금융당국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대출 금리를 낮추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인상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변동 금리형과 주기형(5년) 주담대 금리를 0.06%포인트, KB국민은행은 변동 금리 주담대 금리를 0.04%포인트 인상했다. 키움증권 김은갑 애널리스트는 **“가계 대출 증가율이 상당히 제약받고 있어 금리 인하에 따른 예대금리차 하락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러한 추세는 예대금리차 확대 가능성을 높이며,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신은성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