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완성차 업계 공급망 불안정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로 국내외 타이어 공급에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
17일 발생한 화재로 약 60%의 생산량을 차지하는 핵심 공장이 사실상 전소되었고, 이는 완성차 업체에 대한 납품 차질은 물론 금호타이어의 실적과 중장기 투자 계획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금호타이어는 화재로 인해 광주공장 타이어 생산을 전면 중단했으며, 과거 생산 분야의 지난해 매출은 8916억9790만원으로 전체 매출의 19.7%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금호타이어는 "사고 경위 및 피해 상황을 확인 중이며, 조속한 수습과 복구에 전사적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화재는 17일 오전 7시 11분께 광주 광산구 소촌동에 위치한 정련 공정동에서 시작되었다. 고무를 가열하는 장비에서 발생한 불꽃이 발화 원인으로 추정되며, 내부에 보관 중이던 생고무 20톤과 화학약품이 불에 타면서 화재는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주요 건물이 샌드위치 패널로 이뤄져 있어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고 일부 구조물은 세 차례 붕괴되기도 했다. 소방당국은 헬기 8대, 장비 96대, 인력 262명을 투입해 진화에 나섰지만 주요 건물의 약 50∼60%가 소실되었다.
광주공장은 금호타이어 국내 생산기지 가운데 최대 규모로 연간 약 1200만 본의 타이어를 생산해왔다.
현대차, 기아, 르노코리아, 한국GM, KG모빌리티 등 주요 완성차 5개사에 신차용(OE) 타이어를 공급하고 있다.
특히 광주공장은 OE 타이어 비중이 높은 핵심 거점으로 공장 가동 중단에 따라 납품 차질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현재 OE 생산 제품을 타 공장으로 전환하고, 완성차 업체들과 긴급 공급 조정에 착수했다.
비상 대응 체제를 가동해 공급 차질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지만, 국내 최대 생산 거점이 멈추면서 일부 수급 차질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금호타이어 관계자는 "국내외 공장에서 광주 생산 제품 일부를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피해 규모가 상당해 OE 공급에는 일정 부분 차질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현재는 완성차 업체들과 협의 중이며, 우선은 피해 복구와 진화 작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교체용(RE) 제품도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중장기 대응책을 논의 중"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