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명근 화성특례시장, 민선8기 3주년 맞아 경제·교통·복지 분야 성과와 미래 비전 제시

화성특례시 정명근 시장이 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민선8기 3주년 시정 브리핑을 개최하고 지난 3년간의 주요 성과와 향후 시정 방향을 발표했다.
이번 브리핑에서 정 시장은 105만 시민과 함께 이룬 변화와 성과를 종합적으로 조명했다.
정 시장은 "시민의 삶이 시정의 기준"이라는 원칙 아래 민생 안정과 첨단산업 육성, 교통혁신, 문화·복지 확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가시적 성과를 거두었다고 밝혔다.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화성시는 전국 최대 규모인 5,090억 원의 지역화폐를 발행하고, 소상공인 특례보증 300억 원을 지원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주력했다.
산업 기반 강화 측면에서는 삼성전자, 현대·기아차, 한미약품 등 4,600개 첨단산업 기업의 유치에 성공했으며, KAIST 사이언스 허브와 홍익대 4차산업혁명캠퍼스 유치를 통해 반도체 등 미래산업 인재 양성 기반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교통 인프라 개선에도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었다.
GTX-A 동탄-수서 구간 우선 개통, 서해선 복선전철 개통, 동서도로 개통과 함께 광역버스·공항버스 노선 확충 및 똑버스 확대를 통해 시민들의 이동 편의성이 크게 향상됐다.
시민 안전 분야에서는 산업안전지킴이 운영과 화재위험지도 제작 등 예방 중심의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소방시설 확충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도 두드러진다.
화성시는 전국 최초 청년 결혼장려 매칭통장 '연지곤지', 전국 최대 규모의 출산지원금 101억 원 지원, 전국에서 가장 많은 어린이집 운영, 내년 1월 개소 예정인 전국 최초 단독 아이돌봄센터 등 결혼·출산·육아를 아우르는 75개 사업에 4,269억 원을 투입하고 있다.
문화·체육 분야에서는 연간 900여 회의 공연·전시를 통해 시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했으며, 화성 뱃놀이 축제, 정조효문화제, 정조대왕 능행차 등을 대표 브랜드로 육성했다.
경기도체육대회 3연패, 화성FC 출범, 2027년 전국체육대회와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주 개최도시 선정 등 스포츠 분야에서도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화성특례시는 전국 지자체 종합경쟁력 8년 연속 1위, 지역내총생산(GRDP) 전국 1위, 기업체 수·출생아 수 전국 1위 등 주요 지표에서 선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공약이행평가에서도 최고 등급을 획득했다.
향후 시정 방향으로 정 시장은 '시민이 원하는 삶이 완성된 도시'를 비전으로 제시했다. 일반구 설치, 동탄 트램 조속 추진, 교통망 확충, 대학종합병원 유치, 화성국제테마파크 조성 등 주요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자율주행 리빙랩 실증도시 조성, AI 첨단산업 투자유치, 반도체 클러스터 고도화, 친환경 산업단지 조성 등을 통해 미래 산업 생태계를 완결형으로 육성하고, 현재 20조 원을 상회하는 투자유치 성과를 25조 원까지 확대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주력할 방침이다.
아울러 전국 최초로 출범한 기본사회 전담조직을 통해 생애주기별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하고, 복지·주거·노동·교육·돌봄·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화성형 기본사회'를 구현해 나갈 계획이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시민의 더 나은 삶이야말로 시정의 최종 목표이자 시작점"이라며 "시민과 함께 내 삶의 완성이라는 약속을 실현하고, 미래를 주도하는 중심도시로 당당히 나아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