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준비 빈부격차 심화… 은퇴 후 월 300만원 필요
우리나라 30~60대의 노후준비 수준이 평균 69.9점으로 나타났지만, 경제적 여건, 건강, 대인관계 등에서 뚜렷한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보건복지부 의뢰로 진행한 ‘2024년 노후준비 실태조사 및 진단지표 세분화 방안 연구’ 결과, 전반적인 준비 수준은 5년 전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격차는 여전히 큰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8~9월 전국의 30~69세 성인 3040명을 대상으로 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재무, 건강, 대인관계, 여가 등 4개 영역의 37개 항목을 기준으로 평가했다.
영역별 점수에서 건강이 74.5점으로 가장 높았고, 재무 67.6점, 대인관계 64.9점, 여가 60.3점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무 영역은 지난 조사에 비해 7.3점이 상승했지만, 대인관계 점수는 2.4점 하락했다.
노후준비 수준은 경제적 여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경제 수준이 '상'인 응답자의 평균 점수는 73.4점이었으나, '하' 수준은 67.8점에 머물렀다.
재무 영역에서만 '상'과 '하' 그룹의 격차는 8.8점에 달했으며, 여가(상 64.4점·하 57.3점), 대인관계(상 68.2점·하 63.4점), 건강(상 76.5점·하 73.1점)에서도 경제적 격차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가구 형태나 주거지역, 가족 유무에 따라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배우자가 있는 사람(71.0점)이 없는 사람(65.6점)보다 노후준비 수준이 높았고, 다인 가구(70.8점)가 1인 가구(65.0점)보다, 대도시 거주자(72.1점)가 농어촌 거주자(67.2점)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연령별로는 60대의 노후준비 수준이 평균 66.9점으로 가장 낮았고, 40대가 71.1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응답자들은 평균적으로 66.5세까지 소득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으며, 60대의 경우 70.7세까지 일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은퇴 후 필요 생활비는 월평균 300만원이었으며, 자신의 노후준비 상태에 대해서는 10점 만점 기준 평균 5.28점으로 판단했다.
정부가 2016년부터 공공 차원의 노후준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해당 서비스를 “들어본 적 있고 잘 알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3%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보다 많은 국민이 노후준비 서비스를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제도 홍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향후 실태조사에 20대도 포함하고, 진단지표에 인구사회학적 변수 등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