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페이샤오하오 WEB3 시티투어, 한국서 대규모 투자 유치
경제

페이샤오하오 WEB3 시티투어, 한국서 대규모 투자 유치

신재철 기자
입력2025.04.26 15:38
도지시티 2000만 달러, CAKEPI 200만 달러 매출 기록... 글로벌 블록체인 프로젝트 한국 시장 공략 본격화
▲

중화권 최대 미디어 중 하나인 페이샤오하오(feixiaohao)의 글로벌 WEB3 시티투어 "BRODAO" 제5차 행사가 지난 4월 23일 서울 강남에서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이번 행사는 글로벌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의 한국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했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BRODAO"는 글로벌 리더 투표를 통해 성공 가능성이 높은 프로젝트를 선별하고, 이들과 함께 글로벌 시티 리더 밋업을 진행하는 행사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도지시티(Dogecity)는 한국에서 불과 3주 만에 2000만 달러 이상의 클라우드 채굴기 판매 실적을 올렸다.

 

또한 1억 달러의 유동성이 예치된 펜케이크스왑의 CAKE와 연계된 CAKEPI 프로젝트는 한국에서만 200만 달러 이상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함께 참여한 XCOIN 거래소 역시 수천 명의 한국 노드를 확보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도지시티는 도지코인 클라우드 마이닝 플랫폼으로, 도지코인 채굴 시 라이트코인, 벨스코인 등이 동시에 채굴되며 플랫폼 토큰인 도지퀸(DogeQueen)도 지급된다. 

▲
▲페이샤오하오 도시투어 5회차, 도지시티 2000만달러,CAKEPI 200만달러 매출 대박!

이 프로젝트는 5월 2일 도지재단과 함께 두바이에서 도지 컨센서스인 GDCC2025를 공동 주관할 예정이며, 바이낸스 창립자 CZ의 참석이 확정됐다.

 

서울 행사에 참석한 도지시티의 크리스 대표는 "도지코인은 비트코인과 함께 평생 채굴이 되는 프로젝트로, 도지시티 역시 채굴 분야에서 가장 오래 지속될 수 있는 프로젝트가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CAKEPI는 밈코인 역사상 1억 달러의 유동성을 보유한 프로젝트로, 세계 최대 DEX 거래소인 펜케이크스왑의 CAKE 거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개발됐다. 

 

이 프로젝트는 CAKE로 밈코인인 CAKEPI를 구매할 수 있는 구조로, CAKE 커뮤니티와 PI 커뮤니티가 함께 참여해 올해 출시됐다.

 

CAKEPI는 7억 달러의 다크풀을 준비 중이며, 올해 최대 유동성을 보유한 프로젝트로 주목받고 있다. 5월 15일 DEX에 상장 예정이며, 4월 30일까지 초기 슈퍼노드로 참여해 구매할 수 있다. 초기가는 0.7U, 상장가는 10U로 책정됐다.

 

XCOIN은 AI와 실물자산(RWA)을 결합한 최초의 거래소로, 대주주는 글로벌 5개 상장사와 파키스탄에 10조 이상의 광물자원을 보유한 투자자다. 운영팀은 OKX, 바이비트 등 유명 거래소 출신으로 구성됐으며, 중화권에서 급부상 중인 거래소로 개장 이후 약 400만 명의 유저를 확보했다.

 

이번 BRODAO 투어 제5차 행사에서는 세계 우울증 치료 관련 AI+DEPIN 프로젝트인 WALL X가 새롭게 선정됐다. 아시아 최고 연설가로 알려진 량카이언(梁凯恩) 선생은 SpaceX를 통해 우주에 올라가 WALL X와 함께 우울증 환자들을 위한 치유와 관심을 주제로 특별 연설을 발표할 예정이다.

 

페이샤오하오는 대한민국 최대 전자 박람회인 넥서스 2140 엑스포의 공동 주최사이기도 하다. 이 박람회는 AI, Web3.0, ECOM의 융합 발전과 미래 기회를 탐색하는 행사로, 2025년 6월 21일부터 22일까지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된다.

 

페이샤오하오는 WEB3 시티투어를 통해 대한민국 30개 도시에서 1만 명의 리더 밋업을 진행한 후, 참가자들이 넥서스 2140 엑스포에 참석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4월 3일 서울에서 시작된 리더 밋업은 전주, 광주 등으로 확대되며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페이샤오하오는 2024년 새로운 주주에 의해 인수되었으며, 전 운영진이 교체됐다. 

 

5월 중 새로운 버전을 출시할 예정이다. 페이샤오하오의 대표이자 Takingweb3의 대표인 Dr.ken은 X(구 트위터)에서 최대 100만 명이 참여하는 온라인 스페이스 회의를 주최할 정도로 WEB3 업계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로 알려져 있다.

신재철 기자
shinpress76@hanmail.net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