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01 (금)

검색창 열기

사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결정, 분노하는 일본열도

[ 뉴스패치 ]

지난 13일,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기로 방침을 확정해 큰 파문이 일고 있다. 오는 2023년부터 방사능 오염수를 30~40년에 걸쳐 방류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쌓인 방사능 오염수만 약 125만 톤. 일본 최대 돔구장인 도쿄돔 1개를 가득 채울 수 있는 분량이다. 

 

그러나 이것이 끝이 아니라는 게 더 문제다. 오염수를 멈추기 위해 원자로 폐로를 본격적으로 진행하면 건강에 치명적인 고농도 방사능 오염수가 지금보다 더 나올 수밖에 없다. 또한, 원전의 폐로 작업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게 되면 오염수 발생은 멈추지 못한 채 해양 방류가 계속된다. 설상가상으로, 일본 정부가 오염수 처리에 대한 정보 공개를 투명하게 하지 않고 있다는 의구심까지 제기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주변국들은 일본 정부의 방류 결정에 반대 성명을 발표하며 강력 항의하고 있다. 일본 내 반발도 거세다.  일본의 시민단체 ‘원자력규제를감시하는시민회의’ 등은 세계 80개국 6만 4000여 명의 항의 서명서를 일본 정부에 제출했고, 연일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2년 후, 해양 방류가 계획된 후쿠시마 지역 주민들의 반발은 격렬하다. 생계가 달린 문제라고 호소한 한 주민은 “어떻게 그렇게까지 강제로 해양 방류를 하겠다고 결정할 수 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이야기했다. 또한, 원전 관계자와 주민 간 대화 및 논의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이 드러났다.

 

실제로 지난 2월, 후쿠시마 현민 1200명을 대상으로 한 "삼중수소 처리수의 처분에 대해 지역주민이 충분히 회의 및 논의에 참가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NHK 여론조사 결과  61.2%가 그렇지 않다라고 밝힌 것. 이런 상황에서 지난 13일,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는 "처리수를 마셔도 별일 없다‘며 망언을 해 주민들에게 공분을 사고 있는 상황.

 

하지만, 일본 정부는 여전히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방사성 물질인 트리튬의 농도를 정부 기준치의 40분의 1 이하로 희석해 서서히 바다에 방출하기 때문에 괜찮다는 것. 하지만, 트리튬이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유해물질인 데다, 다른 방사성 핵종도 제대로 거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번주 <특파원보고 세계는 지금>에서는 방사능 오염수의 해양 방류 결정에 분노한 일본 시민 사회와 후쿠시마 현지의 목소리를 들어본다

 

인도는 지금, 3년마다 열리는 힌두교인들의 대축제, 쿰브멜라가 진행 중이다. 대규모의 인원이 갠지스강에 몸을 담그고 과거의 죄를 씻어내는 의식을 치르는 쿰브멜라의 특성상 코로나19 대규모 확산의 또다른 원인이 되지 않을까 우려를 낳고 있는 상황. 

 

축제의 절정을 이룬 지난 14일에는 무려 90만명이 갠지스강에 몰려 입수 의식을 치뤘는데 이날 신규 확진자 19만여 명이 발생하며 기록을 경신했다. 하지만, 방역에 신경 써야 할 관할 주지사는 “신에 대한 믿음이 바이러스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것”이라고 말하며 축제에 힘을 실었다. 경찰 또한, 수십만 명에 달하는 규모로 인해 통제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현재 누적 확진자 1400만여 명으로 브라질을 제치고 세계 2위 확진국이 된 인도는 의료붕괴에 내몰리고 있다. 뭄바이 등 일부 지역의 병상은 포화 상태고, 일부 병원에서는 의료용 산소가 부족해 아우성을 치고 있다. 심지어 영안실이 부족해 장례식장 근처에 시체가 아무렇게나 널브러져 있는 상황.

 

사실, 인도는 강력한 봉쇄 정책을 펼치면서 1차 대유행을 막는 데는 비교적 선방했다고 평가받아 왔다. 지난해 9월, 10만 명에 육박했던 인도의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2월 중순 1만 명 아래까지 떨어지며 확진자 수 감소세를 예상했다. 그러나 정부가 봉쇄령을 느슨하게 풀자 확진자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특히 지난달 말부터 치러지고 있는 지방선거가 확산의 기폭제 역할을 했다. 현 인도 모디 총리와 당 지도자인 라훌 간디가 이끄는 유세 현장에 대규모 인원이 마스크도 쓰지 않은 채 몰린 것이다.

 

한편, 인도 정부는 뒤늦게 다시 봉쇄령을 강화하는 등 확진자 수 관리에 나섰다. 자국 내 생산되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수출 제한을 걸었고 러시아의 스푸트니크V 백신을 긴급 사용 승인했다. 전세계 백신의 60%를 생산하는 세계 최대 백신 생산국이지만 인도의 백신 접종률은 여전히 10%에 못미치는 상황이다.

 


오피니언